루이지애나 매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지애나 매입은 1803년 미국이 프랑스로부터 루이지애나 지역을 구매한 사건이다. 18세기 후반 루이지애나는 유럽 정치적 음모의 대상이었으며, 미국은 미시시피강을 통한 자유로운 통행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나폴레옹이 아이티 혁명 실패로 북미 식민지 제국 건설을 포기하면서, 미국은 프랑스와 협상하여 뉴올리언스뿐만 아니라 루이지애나 전체를 1,500만 달러에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매입은 미국의 영토를 대폭 확장시켰지만, 헌법적 논란과 노예 제도 문제, 원주민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루이지애나 매입은 미국의 서부 개척을 가속화하고, 영토 확장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발생시켰으며, 2003년에는 200주년 기념 행사가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이지애나 준주 - 올리언스 준주
올리언스 준주는 루이지애나 매입 후 북위 33도선 이남에 설정된 미국의 준주로, 루이지애나 주로 승격되기 전 독특한 행정 체계를 갖추고 1811년 독일 해안 봉기 발생지였으며 윌리엄 클레이본이 유일한 주지사를 역임했다. - 1803년 조약 - 중재법 (1803년)
중재법 (1803년)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스위스의 분쟁을 해결하고 헬베티아 공화국을 해산한 후 제정되어 스위스를 19개의 칸톤으로 재구성하고 연방 정부를 수립하여 프랑스의 영향 아래 새로운 연방의 틀을 제공했다.
루이지애나 매입 | |
---|---|
지도 | |
![]() | |
개요 | |
공식 명칭 | 루이지애나 매입, 프랑스어: Vente de la Louisiane |
일반 명칭 | 루이지애나 매입 |
국가 | 미국 |
하위 구역 | 팽창 |
시작 년도 | 1803년 |
종료 년도 | 1804년 |
시작 날짜 | 7월 4일 |
종료 사건 | 해체 |
종료 날짜 | 10월 1일 |
이전 국가 | 루이지애나 (뉴프랑스) |
이전 국가 국기 | Flag of France.svg |
후임 국가 1 | 루이지애나 지구 |
후임 국가 1 국기 | Star-Spangled Banner flag.svg |
후임 국가 2 | 올리언스 준주 |
후임 국가 2 국기 | Star-Spangled Banner flag.svg |
현재 영토 | |
미국 | 아칸소주 아이오와주 미주리주 캔자스주 오클라호마주 네브래스카주 미네소타주 루이지애나주 뉴멕시코주 텍사스주 노스다코타주 사우스다코타주 와이오밍주 몬태나주 콜로라도주 |
캐나다 | 앨버타주 서스캐처원주 |
면적 | |
면적 | 828,000 sq mi (2,140,000 km², 530,000,000 에이커) |
구매 비용 | |
총 비용 | 1500만 달러 (약 1803년 기준 와 유사) |
현금 | 1125만 달러 |
부채 탕감 | 375만 달러 |
실제 비용 | 약 1800만 달러 (1803년 기준 와 유사) |
배경 | |
판매 배경 | 나폴레옹의 전쟁 자금 마련 필요 |
매입 배경 | 미국 서부 팽창 및 미시시피강 통제권 확보 |
주요 인물 | |
미국 대통령 | 토머스 제퍼슨 |
프랑스 지도자 | 나폴레옹 |
주요 조약 | |
조약 | 루이지애나 매입 조약 |
2. 배경
18세기 후반, 프랑스 식민지였던 루이지애나는 유럽 정치 세력 다툼의 중심에 있었다. 당시 루이지애나는 미시시피강과 주요 강 주변의 작은 정착지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프랑스 식민 제국에서 중요한 지역이었다. 1762년, 프랑스는 7년 전쟁에서 패배한 후 퐁텐블로 조약을 통해 스페인에게 루이지애나를 넘겨주었다. 이로 인해 스페인은 미시시피 강 서쪽 지역을, 영국은 동쪽 지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미국 건국 이후, 미국인들은 미시시피 강 동쪽과 뉴올리언스 북쪽 지역을 통치했다. 미국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미시시피 강을 통해 바다로 자유롭게 나아가는 것이었다. 토머스 제퍼슨을 포함한 많은 미국인들은 이 지역이 점진적으로 획득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약해진 스페인 대신 다른 강대국이 이 지역을 차지할 위험이 있어 정책을 재검토해야 했다. 뉴올리언스는 이미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지역의 농산물을 수송하는 중요한 항구였다. 1795년 핑크니 조약을 통해 미국 상인들은 뉴올리언스 항구에 수출품을 보관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고, 미시시피 강 전체를 항해할 수 있는 권리도 인정받았다.
1798년 스페인은 미국에게 뉴올리언스 사용을 허가했던 조약을 파기하여 미국인들을 분노하게 했다. 1801년, 스페인 총독 후안 마누엘 데 살세도는 미국의 상품 저장 권리를 회복시켰다. 하지만 1800년, 스페인은 나폴레옹과의 비밀 조약인 산 일데폰소 제3조약을 통해 루이지애나 지역을 프랑스에 다시 넘겨주었다.[6]
1801년, 나폴레옹이 생도맹그에 군대를 보내면서, 미국의 프랑스 침략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제퍼슨은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려 했지만, 연방주의자들은 이를 이용해 제퍼슨을 공격하고 프랑스에 대한 적대 행위를 요구했다. 제퍼슨은 영국과의 동맹을 내세워 이들을 견제하려 했지만, 당시 미국과 영국의 관계는 불안정했다. 같은 해, 제퍼슨은 투생 루베르튀르의 지배하에 있던 생도맹그(현재의 아이티)를 되찾으려는 프랑스의 계획을 지지했다.
1802년 1월, 프랑스는 샤를 르클레르 장군을 생도맹그 원정에 파견하여 식민지에 대한 프랑스의 통제권을 다시 확립하려 했다. 나폴레옹은 프랑스의 수입과 생산성을 회복하고자 했다. 프랑스의 행동과 북미에 제국을 다시 건설하려는 의도에 놀란 제퍼슨은 카리브해와 관련하여 중립을 선언하고 프랑스에 대한 지원을 거부했지만, 프랑스가 발판을 다시 마련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반군에게 전쟁 물자의 통과를 허용했다.
1803년 프랑스 귀족 피에르 사뮤엘 뒤퐁 드 네무르는 제퍼슨의 요청으로 프랑스와의 협상을 돕기 시작했다. 뒤퐁은 제퍼슨을 대신하여 나폴레옹과 비밀 외교를 벌였고, 훨씬 더 큰 루이지애나 매입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제퍼슨은 1803년 제임스 먼로를 파리로 파견하여 협상을 진행하도록 했으며, 만약 파리 협상이 실패하면 런던으로 가서 영국과 동맹을 맺으라는 지시를 내렸다.
2. 1. 프렌치 인디언 전쟁과 유럽의 정세 변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때 프로이센에게 빼앗긴 슐레지엔을 되찾기 위해 합스부르크 가문이 프랑스, 러시아와 동맹을 맺고 전쟁을 준비하자, 영국과 동맹을 맺은 프로이센이 오스트리아를 선제 공격하며 7년 전쟁이 발발했다.[49][50] 이 전쟁에는 유럽의 강대국들 다수가 참여했고, 인도 등 해외에서도 식민지 쟁탈전이 벌어지며 확전되었다. 북미 대륙에서 오하이오강 주변의 인디언 영토를 둘러싸고 일어난 영국과 프랑스 간 전쟁에서는 프랑스가 패배했다. 1763년 2월에 체결된 파리 조약에 따라[51] 프랑스는 미시시피강 서쪽의 루이지애나를 동맹국 스페인에 넘겨주었는데,[52][53] 이는 스페인이 패전으로 플로리다를 영국에 넘겨준 대가였다.
18세기 후반 프랑스 식민지 루이지애나는 유럽 정치적 음모의 꼭두각시가 되었다. 이 식민지는 미시시피강과 다른 주요 강가의 소규모 정착지들로 이루어진 다른 소유지들과 달리 프랑스 해외 제국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이었다. 프랑스는 1762년 비밀 퐁텐블로 조약에 따라 스페인에 이 지역을 할양했다. 7년 전쟁에서 프랑스가 패배한 후, 스페인은 미시시피강 서쪽 지역을 장악했고, 영국은 강 동쪽 지역을 얻었다.
2. 2. 나폴레옹의 야망과 루이지애나의 반환
제1통령에 오른 나폴레옹은 북미 대륙에 프랑스 식민지 제국을 건설하려는 야망을 가지고 있었다. 1800년 10월, 스페인과 비밀리에 산일데폰소 조약을 체결하여 루이지애나를 양도받았다.[54] 북미에 프랑스가 진출하면 영국을 견제할 수 있어 남미의 스페인 식민지 보호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논리로 스페인을 설득했다. 루이지애나 대신 스페인에는 이탈리아의 투스카니 지역을 주었다. 또한 유사전쟁(Quasi war)으로 불편했던 미국과도 1800년 9월 몰토퐁텐 조약을 맺어 화해했다.[55]1801년 11월, 나폴레옹은 3만여 명의 원정대를 아이티에 파견하여[56] 반란 진압을 시도했다.[57] 아이티는 1795년 바젤 조약으로 스페인으로부터 양도받은 프랑스 식민지였다. 그러나 흑인 노예들이 반란을 일으켜 1801년에 독립을 선언했다.[58] 설탕과 커피를 공급하는 중요한 식민지의 반란은 묵과할 수 없었다. 프랑스 원정 초기에는 순조로웠으나, 1803년 11월에 아이티 점령을 포기하고 철수했다. 현지인들의 강한 저항과 황열병으로 프랑스군은 거의 전멸했고,[59] 영국 해군의 해상 봉쇄로 추가 파병도 어려웠다.
1803년 초, 나폴레옹은 카리브해 식민지로부터 충분한 수입을 얻지 못해 루이지애나가 무가치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스페인이 루이지애나를 아직 이양하지 않았고, 프랑스와 영국의 전쟁이 임박한 상황이었다. 그는 스페인에 대한 분노와 함께, 아직 프랑스 소유가 아닌 루이지애나를 팔 기회를 잡고 전체 지역을 미국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2. 3. 아이티 혁명과 나폴레옹의 좌절

1800년, 나폴레옹은 스페인과 비밀리에 산일데폰소 조약을 체결하여 루이지애나를 양도받았다.[54] 북미 대륙에 프랑스 식민지를 건설하려는 야망을 품고 있었던 그는, 프랑스가 북미에 진출하면 영국을 견제하여 남미의 스페인 식민지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스페인을 설득했다. 또한 유사전쟁(Quasi war)으로 불편했던 미국과도 몰토퐁텐 조약을 맺어 관계를 회복했다.[55]
이후 나폴레옹은 1801년 11월, 3만여 명의 원정대를 아이티에 파견하여 반란 진압을 시도했다.[56][57] 아이티는 1795년 바젤 조약으로 스페인으로부터 양도받은 프랑스 식민지였으나, 흑인 노예들이 반란을 일으켜 1801년에 독립을 선언한 상태였다.[58] 설탕과 커피를 공급하는 중요한 식민지였기에 프랑스는 이를 묵과할 수 없었다.
프랑스군은 원정 초기에는 순조롭게 진압 작전을 수행하는 듯했으나, 1803년 11월 결국 아이티 점령을 포기하고 철수했다. 현지인들의 격렬한 저항과 황열병으로 인해 프랑스군은 거의 전멸하다시피 했고,[59] 영국 해군의 강력한 해상 봉쇄로 추가 파병마저 어려워졌기 때문이었다.
결국 1803년 초, 나폴레옹은 카리브해 식민지에서 충분한 수입을 얻지 못하자 루이지애나를 미국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2. 4. 제퍼슨의 고민과 미국의 입장
미국 남부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은 미시시피 강을 통해 운반되었다.[60] 1795년 미국은 스페인과 핑크니 조약을 맺어 미시시피 강의 운항권과 뉴올리언스 기항권(무관세 선적권 포함)을 보장받았다.[61] 그러나 1800년 루이지애나 소유권이 프랑스로 바뀌면서 제퍼슨 대통령은 고민에 빠졌다. 1802년 나폴레옹은 루이지애나 현지 스페인 총독을 통해 미국 배들의 무관세 선적권을 제한하는 법령을 발표했다.[62]이로 인해 농민들의 불만이 커지자 제퍼슨 대통령은 의회를 설득하여 뉴올리언스 매입 추진에 동의를 얻었다. 제임스 먼로가 나폴레옹과 협상을 위한 사절단 대표로 파리에 파견되었다.[63][64]
미국 건국 이후, 미국인들은 미시시피 강 동쪽과 뉴올리언스 북쪽 지역을 지배했다. 미국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미시시피 강을 통해 바다로 자유롭게 나가는 것이었다. 제퍼슨을 포함한 많은 미국인들은 이 지역이 "조각조각" 획득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약화된 스페인으로부터 다른 강대국이 그 지역을 빼앗을 위험은 이 정책에 대한 "심도 있는 재고"를 필요하게 만들었다. 뉴올리언스는 이미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미국의 지역으로부터 농산물을 수송하는 데 중요한 항구였다.
1798년 스페인은 미국이 뉴올리언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조약을 폐기하여 미국인들을 크게 화나게 했다. 1801년 스페인 총독 후안 마누엘 데 살세도는 미국의 상품 저장 권리를 회복시켰다. 그러나 1800년 스페인은 나폴레옹의 비밀 산 일데폰소 제3조약의 일환으로 루이지애나 지역을 프랑스에 할양했다.[6]
1801년 나폴레옹이 생도맹그에 군대를 파병하면서 프랑스의 침략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이 미국 전역에 퍼졌다. 제퍼슨은 온건함을 촉구했지만, 연방주의자들은 이를 이용하여 제퍼슨을 공격하고 프랑스에 대한 적대 행위를 촉구했다. 제퍼슨은 이들을 무력화하기 위해 영국과의 동맹을 위협했지만, 당시 미영 관계는 불안정했다. 1801년 제퍼슨은 투생 루베르튀르의 통제하에 있던 생도맹그(현재의 아이티)를 탈환하려는 프랑스의 계획을 지지했다.
1802년 1월, 프랑스는 샤를 르클레르 장군을 생도맹그 원정에 파병하여 식민지에 대한 프랑스의 통제권을 재확립하려 했다. 혁명 이전 프랑스는 노예들의 생명과 자유를 희생하여 생도맹그에서 막대한 부를 얻었다. 나폴레옹은 프랑스의 수입과 생산성을 회복하기를 원했다. 프랑스의 행동과 북미에 제국을 재건하려는 의도에 놀란 제퍼슨은 카리브해와 관련하여 중립을 선언하고 프랑스에 대한 지원을 거부했지만, 프랑스가 발판을 다시 마련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반란군에게 전쟁 물자의 통과를 허용했다.
1803년 프랑스 귀족 피에르 사뮤엘 뒤퐁 드 네무르(Pierre Samuel du Pont de Nemours)는 제퍼슨의 요청으로 프랑스와의 협상을 돕기 시작했다. 뒤퐁은 제퍼슨을 대신하여 나폴레옹과 비밀 외교를 벌였고, 훨씬 더 큰 루이지애나 매입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제퍼슨은 1803년 파리에서 협상을 벌이도록 제임스 먼로를 파리로 파견했고, 파리 협상이 실패하면 런던으로 가서 동맹을 협상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3. 매입 과정
나폴레옹은 카리브해의 아이티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데 실패하면서 야망이 좌절되었다. 루이지애나와 아이티 문제로 고심하던 나폴레옹은 미국 사절단에게 뉴올리언스뿐만 아니라 루이지애나 전체를 매입하라는 뜻밖의 제안을 하였다.[65] 전혀 예상치 못한 제안에 리빙스턴과 제임스 먼로는 고민하였다. 의회 승인 없이 사절단이 단독으로 결정할 만한 사항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법적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격 협상에 들어갔고, 최종적으로 1500만달러에 매매 계약을 1803년 4월 30일에 체결하였다.[48] 사절단 귀국 후 국내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으나, 루이지애나 매입은 의회로부터 승인되었다.
루이지애나는 한반도의 10배나 되는 2120000km2에 달하는 거대한 땅이었다. 매입 당시 1km2당 단돈 7달러에 불과한 가격으로, 인류 역사상 가장 황당한 거래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 매입을 계기로 미국의 본격적인 서부 개척 시대가 시작되었다.
3. 1. 나폴레옹의 제안과 미국의 협상
나폴레옹은 카리브해의 아이티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데 실패하면서 야망이 좌절되었다. 루이지애나와 아이티 문제로 고심하던 나폴레옹은 미국 사절단에게 뉴올리언스뿐만 아니라 루이지애나 전체를 매입하라는 뜻밖의 제안을 하였다.[65] 전혀 예상치 못한 제안에 로버트 리빙스턴과 제임스 먼로는 고민했지만, 의회 승인 없이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었기에 법적 근거는 없었으나 가격 협상에 들어갔다. 최종 협상 가격은 1500만달러였고, 1803년 4월 30일 매매 계약이 체결되었다.[48] 이후 미국 내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루이지애나 매입은 의회에서 승인되었다.1801년, 나폴레옹이 생도맹그에 군대를 파병하면서 미국의 프랑스 침략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이 커졌다. 토머스 제퍼슨은 온건함을 촉구했지만, 연방주의자들은 제퍼슨을 공격하고 프랑스에 대한 적대 행위를 촉구했다. 제퍼슨은 영국과의 동맹을 위협했지만, 당시 미영 관계는 불안정했다. 같은 해, 제퍼슨은 투생 루베르튀르의 통제하에 있던 생도맹그(현재의 아이티)를 탈환하려는 프랑스의 계획을 지지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나폴레옹이 뉴올리언스에 군대를 파병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미시시피 강 하구 통제권 확보를 위해 제퍼슨은 1801년 리빙스턴을 파리에 파견했다.[9]
1802년 1월, 프랑스는 샤를 르클레르 장군을 생도맹그 원정에 파병하여 프랑스 통제권을 재확립하려 했다. 혁명 이전 프랑스는 생도맹그에서 막대한 부를 얻었고, 나폴레옹은 프랑스의 수입과 생산성 회복을 원했다. 프랑스의 의도에 놀란 제퍼슨은 카리브해와 관련하여 중립을 선언하고 프랑스에 대한 지원을 거부했지만, 반란군에게 전쟁 물자 통과는 허용했다.
1803년 프랑스 귀족 피에르 사뮤엘 뒤퐁 드 네무르는 제퍼슨의 요청으로 프랑스와의 협상을 돕기 시작했다. 뒤퐁은 제퍼슨과 프랑스 정치인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비밀 외교를 통해 루이지애나 매입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제퍼슨은 나폴레옹의 군사 활동과 의도에 대한 최신 정보를 얻고 있었고, 프랑스와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1803년 제임스 먼로를 파리로 파견했다. 스페인은 루이지애나를 프랑스에 양도하는 조약을 1802년 말까지 미루어 미국인들의 적대감을 키웠다. 또한 스페인이 플로리다를 프랑스에 할양하지 않음으로써 루이지애나는 방어하기 어려워졌다.
나폴레옹은 루이지애나 점령을 위해 영국과 평화가 필요했다. 1803년 초, 프랑스와 영국의 전쟁은 불가피해 보였다. 1803년 3월 11일, 나폴레옹은 영국 침공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10][11]
생도맹그에서 르클레르의 군대는 실패했다. 1803년 초 나폴레옹은 신세계 제국 재건 계획을 포기하기로 결정했다. 스페인은 아직 루이지애나를 프랑스에 이양하지 않았고, 프랑스와 영국의 전쟁이 임박했다. 나폴레옹은 스페인에 대한 분노와 쓸모없는 것을 팔 수 있는 기회 때문에, 전체 지역을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외무장관 탈레랑은 반대했지만, 1803년 4월 10일 나폴레옹은 재무장관에게 루이지애나 지역 매각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4월 11일, 먼로가 도착하기 전 프랑수아 바르베-마르부아는 리빙스턴에게 루이지애나 전체를 1500만달러에 제공했다.[12] 이는 에이커당 3센트(7센트/ha)가 채 안 되는 금액이다. 미국의 대표들은 뉴올리언스와 그 주변 지역에 최대 1000만달러를 지불할 준비가 되어 있었지만, 훨씬 더 넓은 영토가 1500만달러에 제공되자 어리둥절했다. 제퍼슨은 리빙스턴에게 뉴올리언스만 구입하도록 승인했었다. 그러나 리빙스턴은 미국이 이 제안을 수락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미국인들은 나폴레옹이 제안을 철회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1803년 4월 30일 파리의 오텔 튀베프에서 루이지애나 매입 조약에 서명했다.[14] 서명자는 로버트 R. 리빙스턴, 제임스 먼로, 프랑수아 바르베-마르부아였다.[15] 서명 후 리빙스턴은 "우리는 오래 살았지만, 이것이 우리 인생의 가장 고귀한 업적입니다... 오늘부터 미국은 최고의 강대국들 사이에서 자리를 잡았습니다."라고 말했다.[16] 1803년 7월 4일 조약이 발표되었지만,[17] 문서는 7월 14일까지 워싱턴 D.C.에 도착하지 않았다.[18]
1803년 11월 프랑스는 생도맹그에서 군대를 철수했고 서반구의 야망을 포기했다. 1804년 아이티가 독립을 선포했지만, 제퍼슨과 의회는 경제 제재를 취했다.
1802년 제퍼슨은 제임스 먼로를 파리에 특사로 파견하여 미시시피강 하구에 위치하고 물류의 중심지였던 뉴올리언스의 매입을 제안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영국이 캐나다에서 루이지애나에 침공할 경우 방어 자체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루이지애나 전체를 미국에 매각하는 것이 낫다고 결론지었다. 보나파르트는 루이지애나 매각으로 얻은 이익을 대륙 전쟁 비용에 충당하고, 미국의 대유럽 정책을 프랑스 쪽으로 기울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며, 루이지애나를 파격적인 가격에 미국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3. 2. 조약 체결과 의회 승인
나폴레옹이 카리브해의 아이티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데 실패하면서 그의 야망은 좌절되었다. 루이지애나와 아이티 문제로 고심하던 나폴레옹은 미국 사절단에게 뉴올리언스뿐만 아니라 루이지애나 전체를 매입하라는 뜻밖의 제안을 하였다.[65] 전혀 예상치 못한 제안에 리빙스턴과 제임스 먼로는 고민하였다. 의회 승인 없이 사절단이 단독으로 결정할 만한 사항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법적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격 협상에 들어갔고, 최종적으로 1,500만 달러에 매매 계약을 1803년 4월 30일에 체결하였다.[48] 사절단 귀국 후 국내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으나, 루이지애나 매입은 의회로부터 승인되었다.루이지애나는 한반도의 10배나 되는 2120000km2에 달하는 거대한 땅이었다. 매입 당시 1km2당 단돈 7달러에 불과한 가격으로, 인류 역사상 가장 황당한 거래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 매입을 계기로 미국의 본격적인 서부 개척 시대가 시작되었다.



1803년 7월 4일, 먼로와 리빙스턴이 프랑스로부터 매입 소식을 가지고 돌아온 후 매입에 대한 공식 발표가 있었다.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과 내각은 10월까지 조약 비준을 위한 헌법적 타당성을 논의할 시간을 갖게 되었다. 제퍼슨은 헌법 수정을 고려했지만, 내각의 설득으로 "이는 후견인이 그의 피후견인의 돈을 사용하여 중요한 인접 영토를 구입하고, 피후견인이 성년이 되었을 때 '나는 당신의 이익을 위해 이렇게 했습니다'라고 말하는 경우와 같습니다."라고 합리화하며 매입을 정당화했다.[19]
헨리 애덤스를 비롯한 일부 역사가는 제퍼슨이 엄격한 해석주의자임에도 루이지애나 매입에서 위선적으로 행동했다고 주장했다. 연방당원들은 비용 문제, 프랑스가 미국과 영국의 루이지애나 침범에 저항할 수 없을 것이라는 믿음, 그리고 제퍼슨의 위선을 이유로 매입에 강력히 반대했다.[20]
연방당원과 제퍼슨 지지자 모두 매입의 헌법적 타당성에 대해 우려했다. 하원에서는 존 랜돌프가 반대를 이끌었고, 매입 요청 거부 투표가 59대 57로 부결되었다. 연방당은 땅이 프랑스가 아닌 스페인 소유임을 증명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또한 대서양 연안 주들의 권력이 위협받을 것과 노예 소유 주 증가로 인한 남북 분열 심화를 우려했다. 티머시 피커링을 중심으로 한 북부 연방당은 별도 북부 연합 구상까지 하였다.[21]
뉴잉글랜드 연방당의 반대는 경제적 이익 때문이었으며, 헌법적 타당성이나 프랑스의 소유권에 대한 정당한 우려는 아니었다. 북부 사람들은 서부 농부들이 뉴잉글랜드 항구를 거치지 않고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우려했다. 또한 뉴욕주 북부와 뉴잉글랜드의 토지 투기꾼들은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서부로 이주할 농부들에게 토지를 팔 기회를 잃을 것을 걱정했다. 서부 주 형성으로 공화당 세력이 강화되어 뉴잉글랜드 연방당의 정치력이 약화될 것도 우려했다.
뉴올리언스 거주 프랑스인, 스페인인, 흑인 해방자들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조약 조항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의회 비평가들은 민주주의에 익숙하지 않은 이들이 시민이 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스페인은 프랑스가 루이지애나를 제3자에게 양도하지 않겠다고 약속했고, 에트루리아 왕을 인정하지 않아 산 일데폰소 제3조약을 이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양에 항의했다. 프랑스는 약속이 조약에 없었고, 스페인이 아미앵 조약에서 영국이 에트루리아 왕을 인정하지 않았음을 알고도 1802년 10월 루이지애나 이양을 명령했다며 반박했다. 제임스 매디슨은 미국이 스페인에 먼저 매입을 제안했으나, 스페인이 프랑스와 거래하라고 했다고 언급했다.[22]
헨리 애덤스는 루이지애나 매각이 프랑스 상원 동의 없이 양도할 수 없고, 스페인 재산이라면 양도할 수 없으며, 스페인이 반환권을 가지면 무가치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페인 총리는 미국이 프랑스와 협상하도록 승인했고, 스페인은 11월 30일 뉴올리언스에서 프랑스에 영토를 넘겼다.
다른 역사가는 국가가 국경을 변경하는 방법은 정복과 조약이며, 루이지애나 매입은 조약이라고 반박한다. 헌법 제2조 제2항은 대통령에게 조약 협상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제임스 매디슨은 루이지애나 매입이 헌법에 부합한다고 제퍼슨을 안심시켰다. 앨버트 갤러틴 재무장관은 조약 협상 권한이 대통령에게 부여되었으므로, 헌법에서 특별히 제외되지 않는 한 조약으로 영토를 확장하는 것은 대통령 권한이라고 주장했다. 제퍼슨은 헌법 준수를 우려했지만, 의회가 조약을 승인하면 동의할 의향이 있었다. 상원은 조약 비준을 신속히 승인했고, 하원도 자금을 승인했다.[23] 미국은 프랜시스 베어링 앤 컴퍼니와 네덜란드 은행에서 연 6% 이자로 1500만달러를 빌렸다.
미국 상원은 10월 20일 24대 7로 조약 비준에 동의했다. 10월 21일 상원은 제퍼슨에게 영토 점령 및 임시 군정 수립 권한을 부여했다. 10월 31일 제정된 법률에서 의회는 프랑스와 스페인 통치하에서와 같이 지역 민정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하고 대통령에게 군대 사용 권한을 부여했다. 루이스와 클라크 원정대 등 영토 탐험 계획도 세워졌다.[19]
4. 논란과 헌법적 문제
루이지애나 매입은 의회와 상의 없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당시에 큰 논란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당시 미국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의 설득으로 결국 의회는 루이지애나 매입을 승인하였다.[19]
헨리 애덤스를 비롯한 일부 역사가들은 제퍼슨이 헌법에 대한 엄격한 해석주의자임에도 루이지애나 매입을 추진한 것은 위선적이라고 주장했다.[20] 연방당원들은 비용 문제, 프랑스가 루이지애나를 제대로 통제하지 못할 것이라는 믿음, 그리고 제퍼슨의 위선적인 태도를 이유로 매입에 강력히 반대했다.[20]
연방당원과 제퍼슨주의자 모두 매입의 헌법적 타당성에 대해 우려했다. 하원의 많은 의원들이 매입에 반대했고, 존 랜돌프가 반대를 이끌었다. 하원은 매입 요청을 거부하는 투표를 했지만, 59대 57로 부결되었다. 연방당은 심지어 프랑스가 아니라 스페인이 루이지애나의 소유주라고 주장하려 했지만, 기록은 그렇지 않음을 증명했다.[21]
연방당은 또한 대서양 연안 주들의 권력이 서부의 새로운 시민들에 의해 위협받을 것을 우려했다. 새로운 영토에서 노예 소유 주가 증가하면 북부와 남부 간의 분열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다. 티머시 피커링이 이끄는 북부 연방당의 한 그룹은 별도의 북부 연합을 구상하기도 했다.[21]
뉴잉글랜드 연방당의 루이지애나 매입 반대는 주로 경제적 이익 때문이었다. 북부 사람들은 서부 농부들이 뉴잉글랜드 항구를 거치지 않고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우려했다. 또한 많은 연방당원들은 뉴욕주 북부와 뉴잉글랜드의 토지 투기꾼이었고,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인해 서부로 이주할 농부들에게 땅을 팔 수 없게 될 것을 우려했다. 그들은 서부 주들이 공화당 지지 성향을 보이며 뉴잉글랜드 연방당의 정치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21]
또 다른 우려는 조약에 따라 뉴올리언스에 거주하는 프랑스인, 스페인인, 그리고 흑인 해방자들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것이었다. 의회의 비평가들은 민주주의에 익숙하지 않은 이 "외국인"들이 시민이 될 수 있는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21]
스페인은 두 가지 이유로 이양에 항의했다. 첫째, 프랑스는 이전에 루이지애나를 제3자에게 양도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둘째, 프랑스는 에트루리아 왕을 모든 유럽 열강이 인정하도록 하지 않아 산 일데폰소 제3조약을 이행하지 않았다. 프랑스 정부는 루이지애나를 양도하지 않겠다는 약속은 산 일데폰소 조약에 없었기 때문에 법적 효력이 없고, 스페인 정부가 1802년 10월에 루이지애나 이양을 명령했기 때문에 이의 제기가 근거가 없다고 답했다.[22]
매디슨은 스페인의 이의 제기에 대해 미국이 처음에는 스페인에 재산 매입을 제안했지만, 스페인으로부터 프랑스와 거래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고 언급했다.[22]
헨리 애덤스는 "미국에 대한 루이지애나 매각은 세 가지 측면에서 무효"라고 주장했다. 프랑스 재산이라면 보나파르트는 프랑스 상원의 동의 없이 양도할 수 없었고, 스페인 재산이라면 아예 양도할 수 없었으며, 스페인이 반환권을 가지고 있다면 매각은 무가치하다는 것이다.[22] 그러나 매각은 "무가치"하지 않았고, 미국은 실제로 소유권을 획득했다. 스페인 총리는 미국이 프랑스 정부와 협상하는 것을 승인했다. 스페인은 11월 30일에 뉴올리언스에서 프랑스에 영토를 넘겼다.[22]
다른 역사가들은 국가가 국경을 변경하는 방법은 정복과 조약 두 가지뿐이며, 루이지애나 매입은 조약에 해당한다고 반박한다. 헌법 제2조 제2항은 대통령에게 조약 협상 권한을 명시하고 있으며, 제퍼슨은 이를 따른 것이다.[22]
매디슨("헌법의 아버지")은 루이지애나 매입이 헌법에 부합한다고 제퍼슨을 안심시켰다. 재무장관 앨버트 갤러틴은 조약 협상 권한이 대통령에게 특별히 부여되었기 때문에 조약으로 영토를 확장하는 것은 헌법에서 특별히 제외되지 않는 한 대통령의 권한이라고 주장했다. 제퍼슨은 헌법의 경계 내에 머무르는 것에 대해 우려했지만, 의회가 조약을 승인하면 "만족스럽게 동의"할 의향이 있었다.[23]
상원은 조약 비준을 신속하게 승인했고, 하원도 필요한 자금을 승인했다.[23] 미국은 1,500만 달러를 영국과 네덜란드 은행으로부터 연 6%의 이율로 빌렸다.[23]
미국 상원은 10월 20일 24대 7로 조약 비준에 동의했다. 10월 21일, 상원은 제퍼슨에게 영토를 점령하고 임시 군정을 수립할 권한을 부여했다. 10월 31일에 제정된 법률에서 의회는 프랑스와 스페인 통치하에서와 같이 지역 민정이 계속될 수 있도록 임시 조항을 마련하고 대통령에게 질서 유지를 위해 군대를 사용할 권한을 부여했다. 또한 영토를 탐험하고 조사하기 위한 계획이 세워졌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루이스와 클라크 원정대이다.[19]
5. 영향
미국은 루이지애나 매입을 통해 서부 개척의 발판을 마련하고 영토를 크게 늘렸다. 이로 인해 서부 지역에 더 많은 주를 설치할 수 있게 되었으며, 미국 남부 농민들은 플랜테이션 농지를 확장할 수 있었다.[19] 그러나 이 영토 획득은 노예 제도 문제를 일으켜 결국 미국 남북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19]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매입한 영토를 관리하기 위해 서부 탐험대를 조직하여 파견했다.[19] 루이지애나 준주는 행정 편의를 위해 더 작은 구역으로 나뉘었고, 남부 주들과 유사한 노예 제도 법률을 통과시켰다. 당시 루이지애나 남부에는 아이티 혁명을 피해 도망친 프랑스어 사용 난민들이 많았는데, 이들 중에는 노예들을 데리고 온 농장주들도 있었다. 많은 남부 노예 소유주들은 새로 획득한 준주에서 노예 반란이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미국 정부가 노예 제도를 허용하기를 바랐다.
결과적으로 루이지애나 준주에서의 노예 제도 제도화는 미국 남북 전쟁 발발의 한 원인이 되었다. 각 주의 노예 제도 지위는 의회에서 논쟁거리가 되었고, 남부 주들은 노예 제도를 서쪽으로 확장하려 한 반면, 북부 주들은 새로운 주들이 "노예주"로 편입되는 것에 반대했다. 1820년의 미주리 타협은 이러한 갈등을 일시적으로 해결했다.[41]
루이지애나 매입은 프랑스와 미국 간의 협상이었지만, 그 땅에 살고 있던 인디언 부족들과는 상의하지 않았다. 루이지애나 매입 이후 40년 동안 많은 부족들이 미시시피 강 동쪽의 땅에서 새로운 영토로 강제 이주당했으며, 이는 눈물의 길로 절정에 달했다.[44]
루이지애나 준주 매입은 원주민 토지 권리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1946년 인디언 청구 위원회 법(ICCA)이 통과되었고, 내무부 변호사인 펠릭스 S. 코헨은 "1776년 이후 미국이 취득한 부동산의 거의 대부분은 원래 인디언 소유주로부터 구입한 것"이라고 말했다.[3]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취득한 토지에 대한 모든 후속 조약과 재정 합의에 대한 미 정부의 총 비용은 2012년 기준 약 26억달러로 추산된다.[2][3]
5. 1. 미국의 영토 확장과 서부 개척
미국은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인해 서부 개척의 발판을 마련하고 영토를 확장하여 서부 지역에 더 많은 주를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미국 남부지역 농민들의 플랜테이션 농지 증강에도 영향을 끼쳤다.
당시 미국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은 이 영토를 매입한 후 통치를 위해 서부 탐험대를 조직하여 파견하기도 하였다.
1804년 3월 9일과 10일, 세 개의 깃발의 날(Three Flags Day)로 기념되는 행사가 세인트루이스(St. Louis)에서 열려 상부 루이지애나의 소유권이 스페인에서 프랑스로, 다시 미국으로 이전되었다. 1804년 10월 1일부터 매입된 영토는 오를레앙 준주(Territory of Orleans)(대부분이 루이지애나주가 됨)와 루이지애나 지구(District of Louisiana)로 조직되었다. 루이지애나 지구는 일시적으로 인디애나 준주(Indiana Territory) 주지사와 사법 체계의 통제를 받았다. 다음 해에 루이지애나 지구는 루이지애나 준주로 개명되었다.[26] 뉴올리언스는 오를레앙 준주의 행정 수도였고, 세인트루이스는 루이지애나 준주의 수도였다.[27]
스페인과 미국 사이에는 루이지애나의 영토 범위를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다. 미국은 루이지애나가 미시시피강 유역의 서쪽 전체를 로키산맥 정상까지, 그리고 리오그란데강과 서플로리다까지 확장되는 땅을 포함한다고 주장했다. 스페인은 루이지애나가 미시시피강 서쪽 강둑과 뉴올리언스, 세인트루이스 도시를 넘어서는 영토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분쟁은 1819년 애덤스-오니스 조약에 의해 최종적으로 해결되었고, 미국은 서쪽에서 주장했던 대부분의 영토를 얻었다.
루이지애나 매입의 동쪽 경계는 그 발원지에서 북위 31도선까지 미시시피강이었지만, 당시 미시시피강의 발원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북위 31도선 이남의 동쪽 경계는 불분명했다. 미국은 퍼디도 강까지 땅을 주장했고, 스페인은 플로리다 식민지의 국경이 미시시피강으로 남아 있다고 주장했다. 스페인과의 애덤스-오니스 조약은 1821년 비준될 때 이 문제를 해결했다. 오늘날 북위 31도선은 플로리다 펜핸들 서쪽 절반의 북쪽 경계이고, 퍼디도 강은 플로리다의 서쪽 경계이다.[37]
서쪽 경계가 매입 당시 분쟁 중이었기 때문에, 제퍼슨 대통령은 즉시 새로운 영토를 탐험하고 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네 개의 탐험대를 조직했다. 네 개의 탐험대 모두 미시시피강에서 시작되었다.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1804년)는 미주리 강을 따라 여행했고, 1806년 레드 강 탐험대는 레드 강 유역을 탐험했고, 파이크 탐험대(1806년) 역시 미주리 강을 따라 시작했지만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아칸소 강 유역을 탐험했다. 또한, 던바와 헌터 탐험대(1804-1805년)는 우아치타 강 유역을 탐험했다.[38]

초기 탐험 이후, 미합중국 정부는 이 지역에 대한 통제를 확립하려고 했다. 1808년에는 무역 공장이 있는 두 개의 군사 요새가 건설되었는데, 하나는 미주리주 서부에 있는 오세이지 요새이고, 다른 하나는 아이오와주 동부에 있는 매디슨 요새였다. 1812년 전쟁 동안, 영국은 인디언 동맹국의 지원을 받아 미시시피강 상류에서 미합중국군을 패퇴시켰다. 루이지애나 매입지 전체에 대한 미합중국의 소유권은 겐트 조약(1815년 2월 비준)에서 확인되었다.[43] 미합중국은 나중에 벨 퐁텐 요새 증설을 포함하여 미시시피강과 미주리강을 따라 요새를 건설하거나 확장했다.
5. 2. 노예 제도 문제와 남북 전쟁의 씨앗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미국의 서부 개척이 가속화되었고, 늘어난 영토에 더 많은 주를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미국 남부 농민들의 플랜테이션 농지 확장에도 영향을 주었다.[19]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매입한 영토 통치를 위해 서부 탐험대를 조직하여 파견했다.[19] 그러나 이 영토 획득은 노예 제도 문제를 야기하여 결국 미국 남북 전쟁의 씨앗이 되었다.
루이지애나 준주는 행정 편의를 위해 더 작은 구역들로 나뉘었고, 이들은 남부 주들과 유사한 노예 제도 법률을 통과시켰다. 다만, 이전 프랑스와 스페인 통치 시기의 조항들도 일부 포함되었다. 예를 들어, 스페인은 1769년에 아메리카 원주민 노예 제도를 금지했지만, 일부 아프리카계-아메리카 원주민 혼혈 노예들은 미국 인수 당시에도 상 루이(St. Louis)에 여전히 억류되어 있었다.[40] 아메리카 원주민 노예 제도는 1836년 미국 대법원의 자유 소송을 통해 마침내 종식되었다.[40]
이 시기 루이지애나 남부에는 상투생(Saint-Domingue)의 노예 반란을 피해 도망친 프랑스어 사용 난민들이 대거 유입되었는데, 이들 중에는 노예들을 데리고 온 농장주들도 있었다. 많은 남부 노예 소유주들은 새로 획득한 준주가 미국의 노예들이 상투생의 노예들처럼 반란을 일으키도록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들은 미국 정부가 노예 제도를 허용하여 새로운 농업 사업을 위해 노예들을 데려올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미래 노예 반란의 위협을 줄이기를 바랐다.
결과적으로 루이지애나 준주에서의 노예 제도 제도화는 반세기 후 미국 남북 전쟁 발발의 한 원인이 되었다. 준주 내에서 주들이 조직되면서 각 주의 노예 제도 지위는 의회에서 논쟁거리가 되었고, 남부 주들은 노예 제도를 서쪽으로 확장하려 한 반면, 북부 주들은 새로운 주들이 "노예주"로 편입되는 것에 강하게 반대했다. 1820년의 미주리 타협은 이러한 갈등의 일시적인 해결책이었다.[41]
5. 3. 원주민과의 관계 악화
루이지애나 매입은 프랑스와 미국 간에 협상되었지만, 그 땅에 살고 있던 다양한 인디언 부족들과는 상의하지 않았고, 그들은 어떤 식민지 세력에도 그 땅을 양도하지 않았다. 루이지애나 매입 이후 40년은 미시시피 강 동쪽의 땅에서 많은 부족들을 새로운 영토로 이주시키는 법원 결정의 시대였으며, 눈물의 길로 절정에 달했다.[44]루이지애나 준주 매입은 20세기 중반까지 지속된 원주민 토지 권리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1930년대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인한 역사적 피해에 대한 많은 소송과 부족 소송은 1946년 인디언 청구 위원회 법(ICCA)으로 이어졌다. ICCA 통과에 기여한 내무부 변호사인 펠릭스 S. 코헨은 "1776년 이후 미국이 취득한 부동산의 거의 대부분은 나폴레옹이나 다른 황제 또는 차르가 아니라 원래 인디언 소유주로부터 구입한 것"이라고 말했다.[3] 최근에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인해 취득한 토지에 대한 2012년까지의 모든 후속 조약과 재정 합의에 대한 미 정부의 총 비용은 약 26억달러 (2012년 기준 억 달러)로 추산된다.[2][3] 이는 1803년 달러로 4.18억달러에 해당하므로 프랑스에 원래 지불한 1500만달러는 이 토지에 대해 지불한 총액(프랑스와 인디언 모두에게)의 약 3.5%였다.[3]
6. 200주년 기념 행사와 현대적 의의
2003년 루이지애나 매입 200주년을 맞아 다양한 기념 행사가 열렸다. 하지만 이라크 전쟁을 둘러싸고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대립하고 있었기 때문에, 두 사람은 참석하지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Louisiana Purchase Definition, Date, Cost, History, Map, States, Significance, & Facts
https://www.britanni[...]
1998-07-20
[2]
웹사이트
The True Cost of the Louisiana Purchase
http://www.slate.com[...]
2017-03-01
[3]
논문
Accounting for Conquest: The Price of the Louisiana Purchase of Indian Country
2017-03-01
[4]
웹사이트
Louisiana History, Map, Population, Cities,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29
[5]
서적
Congressional series of United States public document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864
[6]
MA thesis
The Role of American Diplomacy in the Louisiana Purchase
http://pdxscholar.li[...]
Portland State University
1976
[7]
서적
West Florida and Its Relation to the Historical Cartography of the United States
https://archive.org/[...]
The Johns Hopkins Press
1898
[8]
백과사전
Louisiana Purchase
https://www.britanni[...]
[9]
웹사이트
Milestones: 1801–1829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10]
논문
Building Napoleon's flotillas: An invasion project fraught with difficulties
https://www.cairn-in[...]
2022
[11]
논문
Napoleon, Jefferson, and the Louisiana Purchase
https://www.tandfonl[...]
2017-03-15
[12]
웹사이트
3 Of The Most Lucrative Land Deals In History
http://www.investope[...]
2012-10-08
[13]
웹사이트
Primary Documents of American History: Louisiana Purchase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1-03-29
[14]
위키소스
Louisiana Purchase Treaty
[15]
서적
Le guide de Napoleon: 4000 lieux de mémoire pour revivre l'épopée
Tallandier
2005
[16]
웹사이트
America's Louisiana Purchase: Noble Bargain, Difficult Journey
http://www.lpb.org/e[...]
LPB
[17]
웹사이트
The Louisiana Purchase: Jefferson's constitutional gamble
https://constitution[...]
2017-10-20
[18]
웹사이트
Purchase of Louisiana, [5 July 1803]
https://founders.arc[...]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9]
웹사이트
The Louisiana Purchase
https://www.monticel[...]
[20]
논문
When the Ends Justify the Means: Thomas Jefferson and the Louisiana Purchase
1992
[21]
논문
Escaping "Mr. Jefferson's Plan of Destruction": New England Federalists and the Idea of a Northern Confederacy, 1803–1804
2001
[22]
뉴스
James Madison: A Biography in his Own Words
[23]
웹사이트
Jefferson and the Louisiana Purchase
http://www.americanh[...]
[24]
서적
The Autobiography Manuscript of Major Amos Stoddard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5]
서적
Sketches, Historical and Descriptive, of Louisiana
https://books.google[...]
Mathew Carey
[26]
서적
Laws of a Public and General Nature: Of the District of Louisiana, of the Territory of Louisiana, of the Territory of Missouri, and of the State of Missouri, Up to the Year 1824
W. Lusk
1842
[27]
서적
The Uniting States: Louisiana to Ohio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4
[28]
PhD
Private Interest and the Public Sphere: Finance and Politics in France, Britain and the Netherlands during the Age of Revolution, 1789–1812
European University Institute
2016
[29]
서적
Transatlantic Finance in the Age of Revolutions. Hope, Baring, and the Financing of the Sale and Purchase of Louisiana
Palgrave Macmillan
2024
[30]
웹사이트
Aspecten van de Geschiedenis van Hope & Co en van Gelieerde Ondernemingen
https://geneagraphie[...]
Archief van de Firma Hope & Co. met verwante archiefvormers
2018-08-31
[31]
서적
United States Statues at Large
Little, Brown & Co.
1867
[32]
서적
Annual Report of the Secretary of the Treasury on the State of the Finances: 1789–1980
U.S. Department of the Treasury
1803-01
[33]
웹사이트
A Question of Boundarie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34]
웹사이트
Financing the Louisiana Purchase
https://tontinecoffe[...]
2018-11-19
[35]
법률
[36]
웹사이트
Treaties in Force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5-07-14
[37]
웹사이트
Statutes & Constitution :Constitution : Online Sunshine
http://www.leg.state[...]
2020-03-20
[38]
서적
The Forgotten Expedition, 1804–1805: The Louisiana Purchase Journals of Dunbar and Hunter
https://books.google[...]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006
[39]
백과사전
The Louisiana Purchase: Liberty, Slavery,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Territory of Orlea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3-28
[40]
학술지
Slave Freedom Suits before Dred Scott: The Case of Marie Jean Scypion's Descendants
http://statehistoric[...]
1984-10-01
[41]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42]
서적
Cantonment Belle Fontaine 805–1826 The First U.S. Fort West of the Mississippi River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Press
2018
[43]
학술지
The Battle of New Orleans and the Treaty of Ghent
1979
[44]
웹사이트
Indian (Native American) Removal
https://64parishes.o[...]
Louisiana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2019-10-01
[45]
서적
Napoleon; a biography
Jonathan Cape
1997
[46]
서적
The American Pageant
[47]
웹사이트
Table 1.1 Acquisition of the Public Domain 1781–1867
http://www.blm.gov/n[...]
2003-10-02
[48]
서적
한권으로 보는 미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11-27
[49]
백과사전
7년전쟁 [Seven Years' War, 七年戰爭]
https://terms.naver.[...]
[50]
서적
세계전쟁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11-04-08
[51]
백과사전
프렌치-인디언 전쟁(French and Indian War)
https://100.daum.net[...]
[52]
서적
한권으로 보는 미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11-27
[53]
백과사전
루이지애나 매입 협정 - 미국, 종이 한 장으로 강국이 되다
https://terms.naver.[...]
2014-12-22
[54]
서적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1
휴머니스트
2005
[55]
서적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1
휴머니스트
2005
[56]
서적
나폴레옹
교양인
2016
[57]
서적
100문 100답 세계사산책
백산서당
1994-01-10
[58]
서적
상식밖의 세계사
새길
1994-03-15
[59]
웹사이트
The Slave Rebellion of 1791
http://www.kreyol.co[...]
2006-11-27
[60]
서적
한권으로 보는 미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11-27
[61]
서적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1
휴머니스트
2005
[62]
백과사전
루이지애나 매입 협정 - 미국, 종이 한 장으로 강국이 되다
https://terms.naver.[...]
2014-12-22
[63]
서적
한권으로 보는 미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11-27
[64]
웹사이트
Image 906 of James Monroe Papers: Series 1, General Correspondence
https://www.loc.gov/[...]
1803-10-08
[65]
서적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2-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